본문 바로가기

Hardware Story/Electronic Goods

올해는 각(角)이 있는 디자인이 선도하나 봅니다

대부분 게임관련으로서 많은 이들이 관심을 주고 있는 'E3 2013'에서 당연하듯 PS4와 XBOX ONE 에 대한 최종형태 공지가 있었습니다.

우선, 별반 다른 것 없이 큰 화제를 부른 것은 가격공지와 PS4 본체 디자인 공개였습니다.

마치 올해는 각진 디자인이 유행을 한다는 듯 (음모론에서는 소니가 이런저런 디자인 후보를 가지고 있다가 XBOX진영에서 발표한 것을 보고 응수하는 수를 썼다는 말이 있지만)요런 모양새를 선보였습니다.




가격도 특징이 강하지요. 소니 PS4는 미국 현지 발매가격으로 399달러, 마이크로소프트의 XBOX ONE은 499달러입니다.

순수하게 하드웨어 특징만 따져보기란 어려운 것이겠지만 우선 100달러라는 가격차이를 가지고 선도하는 과정이라는 것은 미묘한 오차를 낳게 해줄지도 모르겠습니다.

현재로서는 키텍트, 무브에 대한 입장을 어느 선에서 정리하는지에 대한 소니의 공격성, 시장진입에 대한 열성을 볼 수 있습니다. 소니와 마이크로 소프트가 가진 개성이라는것은 너무 시컴둥한 것이어서 아직은 뭐라고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왜 그리도 다들 검은색 바디를 선호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게임기인데 말입니다.




마이크로 소프트 진영의 구성에서는 당연하듯 홈 엔터테인먼트, (다만 이 주장은 소니가 PS3를 발표할 때 나왔던 주요 쟁점이었지요) 를 지향하는 강력한 하드웨어라는 말을 하지만 실제 하드웨어만 가지고 이야기를 하는 분들에게 있어서 키넥트, 무브와 같은 동작센서부를 제외한 본체 사양에서 너무 차이가 난다는 말을 합니다. 이것은 실제 어느정도 게임환경에 대한 기대치를 높여준다고 말을 하지만 양쪽 다 HD이상의 영상규격 UHD나 SUHD등에 대한 화상규격에 대한 언급이 따로 없었다는 것은 아무래도 '5'나 'TWO'같은 것에 대한 암시성을 보여준다고 생각을 합니다만 실제 게임 콘텐트 자체가 그 이상 규격을 지원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확실한 만큼 두 하드웨어가 '지금  나올 필요가 있는 것인가?' 하는 말도 합니다.

게임기 성능으로만 따지고 보면 PS3와 XBOX360이 충분히 커버하고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실제, 게임관련 성능만 따지고 보면 이번에 나오는 4와 ONE은 그냥 조금 더 친절한 서비스 기능을 추가한 하드웨어라는 말밖에 못할 것 같습니다.

 

실제, 두 장비를 구입하려는 이는 대부분 게임에 관련된 흥미를 가진 이들이지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기기라는 입장이 적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전혀 다른 인지도를 가진 브랜드를 만들어 내놓지 않고서는 힘들겠지요. 소니는 일본 내 시장에서 어느정도 비슷한 과정을 밟아가고 있지만 이번에 선보인 각진 디자인 위나 옆에 추가로 연결될 하드웨어는 아마도 방송, 미디어 관련과 연계되지 않을까 합니다. PS4전용 HDD, 데이터 저장 장치도 나올지 모르겠습니다. 다운로드 인증을 받으면 그 안에서 개인 소유가 인증된 영상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즐길 수 있게 되는 형태도 나올 것 같고요.

근래에 와서는 꼭 '광미디어'가 필요한 것인가? 라는 말도 나옵니다. 용량과 속도, 관리 측면에 있어서 말 그대로 롬방식, 메모리 타입 게임 소프트 발매도 충분하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DVD 듀얼레이어면 충분한 용량, 또는 블루레이어 한장의 용량에 들어가서 남아도는 용량의 게임이라는 것은 실제 복제방지 기술에 대한 여러가지 기준을 빼고 보면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니니 말입니다.

실제 USB 3.0기준 속도만 유지한다면 어리벙벙한 광미디어 게임보다 훨씬 좋습니다. 간결한 메모리스틱 게임도 나오는 것이 더 편하다는 것이겠지요.

그런 상황에서 보면 다운로드 게임도 여전히 한국기반에서는 환영할만한 가능성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패키지 제품 자체에 별 의미를 두지 않는 저 같은 라이트 유저들은 그냥 편하게 접근하게 되지요. 물론 물류 유통구조는 이런저런 소리가 있겠지만요.

 

다만 여전히 PC게임 분야의 해상도, 기능과 비교할 때 아쉽고, PS3나 360에서도 할 게임이 적어서 그냥 그렇고 그러했던 제 기준으로 보면 새로운 하드웨어보다 즐겨볼 게임 자체에 더 신경을 써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가격 비교에서 PS4의 승리방정식 성립이라는 말을 하게되지만 정작 즐길 수 있는 게임이 나와주지 않으면 저에게는 여전히 마찬가지가 되어버릴 것 같습니다. 게다가 399가 싸다는 인식도 경쟁사의 499때문에 그렇지, 실제 과거였다면 399도 비싸다는 말이 많았을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현행 PS3가격과 비교할 때 말도 안되는 399이지만, 성능 자체의 변화보다는 3.5라는 인상을 지우기 힘든 것도 맞기 때문에 여전히 논은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