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xul Story

간단해 보이지만 의외로 시간이 걸리는 이미지업데...

앞서서 써둔 포스트에서 이야기를 했지만 사진 이미지가 조금 많아서

백업을 해둘 생각으로 이런 저런 곳에 업데이트를 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사진을 통한 재미와 그것을 통해서 보고 느낄 수 있는

많은 것을 나누어보는 자리가 재미있기 때문인데

이것에 제법 시간을 많이 잡아먹습니다.


아니 그냥 찍은 사진 데이터를 올리는 것 뿐인데

뭐가 어려워? 

라는 말을 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포토갤러리에서는 사진과 간단한 설명, 그리고 태그와 사용기종&렌즈 정도만 넣어두면 되지만

한가지 미미한 부분이 바로 위치정보입니다.

그냥 텍스트로 넣어서 검색이 되면 다행이고 아니면 넘어가는,

좀 아쉬운 부분이 많습니다.

사실 이런 부분은 나중에 거리뷰 같은 부분과 연계가 되면 좋은 점이라고 생각을 하지만

아직까지 이런 부분은 네이버가 조금 어벙하게 진행시키고 있는 점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사실 지도 맵 부분에 있어서 구글이 최강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고

더불어 사용할 수 있는 맵 정보활용에 있어서

이런 사진 이미지 업데이트에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특히 사진 이미지는 exif정보에 카메라 촬영정보와

촬영 날짜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위치정보는 앞으로

기본적으로 포함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업무용으로는 이런 저런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지만

취미용으로는 어렵다고 말을 하지요.

 

그렇다고 해도 생각해보면 앞으로 사진데이터가

디지털화를 가지게 되면서 위치, 지도와 연동되는 재미는

가희 말로 할 수 없는 새로운 문화권을 가질 것이라고 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확실히 그런 점에서 플릭커는 새롭게 강화한 이미지 콘텐츠를 잘 구성해 나가고 있습니다.

전세계 500만 플릭커 유저들이 올려대는 이미지가 엄청나다는 것은 이미 유명한 이야기입니다만,

똑같은 샹하이 동방명주 TV탑에 대한 이미지를 업데이트를 해도

네이버 포토갤러리와는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물론, 손이 더가는 만큼 조금 필요없는 기능이라고 말할지도 모르지만

자신의 취미사진 기록을 되돌아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좋은 구성이 아닐까 합니다.

이미지를 찍은 날자는 EXIF정보에 있는 것이니까 당연히 나오는 것이고

위치는 제가 찾아서 지정을 하는 것입니다.

 

가끔 위치를 잘못알아서 고생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구글어스나 구글맵, 다음뷰 등을 동원해서 제대로 된 위치를 검색하기도 합니다.

교차 검색을 해서 혹시나 잘못 위치를 정할지도 모르는 오류를 줄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그렇게해서 플릭커에서 보면 이렇게 제가 찍은 사진들을 가지고 월드 지도를 펼쳐 볼 수 있습니다.

한국 내에서만 찍을 대는 한국을 중심으로 조금 더 크게 보이지만

우선 조금씩 업데이트를 하고 있는 사진 구성이 좌우로 넓어지다보니

한 번에 보는 지도에서는 이렇게 표현이 됩니다.

당연히 한국 서울을 중심으로 찍은 사진들이 월등하게 많지만

넓게 포인트로만 보면 겨우 이 정도로만 돌아다닌 모습 정도로 보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분 확대를 하면 이렇게 국가별, 지역별으로 구분되어 보입니다.

최대한 확대를 하면 도시, 동네까지 보입니다만 지역에 따라서

지도로서만 지원되는 곳이 있고 위성사진으로만 지원되는 곳이 있습니다.

특히 서울같은 경우는 지도가 조금 미비하게 되어 있어서

(이것은 야후나 구글이나 다 마찬가지 입니다)

위성사진으로 보고 느끼는 재미는 훌륭한 편이지만

정확하게 거리명칭이나 지역주소 등을 기억하지 못하는 분들에게는

정말 정말 고생하게 만드는 모습이지요.

 

그래서 한국지역을 교차 검색해서 위치를 지정할 때는

네이버와 다음 맵을 주로 해서 찾아보고 있답니다.

가끔보면 알고있던 동네도 행정구역상으로는 다른 호칭으로

불리는 경우를 만나게 되기 때문에

조금씩 그 데이터를 만들어가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디지털 카메라를 가지고 만들어가는 취미적인 재미를

따로 생성해볼 수 있는 이런 즐거움은

꾸준히 만들어갈 수 있는 디지털문화의 한 편이 아닐까 합니다.



P 만보님의 파란블로그에서 발행된 글입니다.